728x90

Flat White

플랫 화이트


화이트 커피의 한 종류.

사전상에는 이렇게 정의되어 있다.


"(Australia and New Zealand) A type of white coffee made with espresso coffee and hot milk
(호주/뉴질랜드, 
에스프레소와 따뜻한 우유로 만든 커피)"


정말 성의 없다. 저렇게 써놓으면 카페라떼카푸치노 다를게 없는데?


그런데 실제로 호주, 뉴질랜드, 영국, 미국 등 영미권에서 이 플랫화이트가 무엇인지, 어떤 맛인지, 플랫화이트와 라떼의 진정한 차이는 과연 무엇인지에 대해 활발히(..!) 논쟁중이다. 이런면에서 보면 가장 현대적인 커피라고 할 수 있겠다.

 



겉모습만 보면 카푸치노와 라떼와 플랫화이트는 거의 같다 똑같다

때문에 입 안에서도 같을 거라는 오해를 받는지도. 

하지만 모두 알고 계시듯, 카푸치노와 라떼는 입 안에서 서로 전혀 다른 경험을 선사한다. 

플랫화이트도 독특한 경험을 선사하며 고유의 영역을 확보하고 있다.


카푸치노가 "거품속에서 에스프레소를 찾아 마신다"는 느낌이라면, 

라떼는 "우유와 하나된 에스프레소"를 마시는 것이고, 

플랫화이트는 "벨벳(Velvet)을 마시는" 느낌이다.


내가 감히 무엇을 말 할 수 있겠냐만은, 플랫화이트와 라떼의 가장 큰 차이는 우유다.


플랫화이트와 라떼를 잔의 크기로 구분하는 경우가 있는데, 

우유 상태에 따라 에스프레소의 맛이 상이하므로 잔의 크기보다 우유 상태가 더 중요한 요인임은 확실하다. 


어떤 경우에는 샷이 몇개 들었는지로 따지기도 한다. 

"라떼가 1-샷, 플렛화이트는 2-샷"이라는 일종의 공식을 세운 것이다. 

하지만 플랫화이트의 고향인 호주/뉴질랜드에서도 1-샷 플랫화이트를 서빙하는 집이 상당히 많다.



결국 가장 큰 차이는 우유라고 밖에 할 수 없다.

우유를 따뜻하게 데우면서 동시에 곱게 쳐야한다.

그래야만 벨벳의 느낌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내가 '진짜' 커피를 처음 접한 곳, 뉴질랜드.

그곳에서 가장 사랑받는 커피라면 단연 플랫화이트일 것이다.


처음으로 탬퍼와 피처를 잡고 내 손으로 내린 커피도,

참 많이 망쳐서 버린 커피도, 

처음 돈을 받고 서빙한 커피도 플랫화이트였다. 

진심으로 정든 메뉴지만 한국에선 마실 기회가 없었다.


카페베네에 있다던데, 이것을 마셔본 모두가 노노 했다.

입맛 버린다고. 이러니까 더 궁금해져서 마셔보고 싶지만.


가끔씩 생각날 때가 있다. 

두더지 오락기에서 두더지 튀어나오듯 생각난다.

단골 카페 사장님한테 이 커피를 설명해드리고,

만들어줄 수 있냐고 묻자 혼쾌히 만들어주셨다.

맛있었다. 한국 우유맛의 한계는 어쩔 수 없어 아쉽지만, 

텍스처는 그리운 그 느낌이었다. 정말 맛있었다.

역시 장사는 아무나 하는게 아닌가보다. 

어른들 말씀대로 "도사는 따로 있다".




 


오클랜드의 한 스타벅스에서 메니저로 있는 친구가 있다.

그 친구와 플랫화이트 얘기를 하다가 본인이 만들었다며 사진을 보내줬다. 

색깔 굿. 

근데 나뭇잎 삐뚫어졌다.



반응형

'eonlog > 식사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랫화이트, 두 번째  (6) 2014.07.06
"좌장군 닭고기 요리" General Tso's chicken  (0) 2014.06.24
상반기 먹방사진 정리  (0) 2014.05.27
12년 2/4분기  (0) 2012.07.19
No Impact Days ~ 후기  (0) 2010.11.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