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2월부터 최근까지 진공상태에 가까웠던 것 같다. 마지막 업로드로부터 7개월이 흘러 있었다. 이제서야 창밖에 핀 꽃이 보인다. 봄인 것이다. 

 

1. 가장 최근에 읽은 책은 '아타쿠가와 류노스케' 단편집이다. 작가의 점점 나약해지는 정신과 육체가 글 속에 고스란히 드러난다. 이 책에 대한 책로그는 다음에 적을 예정이다. 이 단편집을 읽고 나니  '나카지마 아쓰시'의 작품도 궁금해졌다. 다음에 읽어볼 생각이지만, 그 전에 읽어야 할 책들이 줄지어 기다리고 있다.

 

2. 트럼프의 상호 관세 발표가 머릿속에 맴돌고 있다. 이를 두고 역사적인 사건이라는 평가가 많은데, 동의한다. 이대로라면 경제 문제를 넘어 우리의 일상까지 바꿀 수 있는 사건이 될 것이다. 트럼프는 이번 관세 부과를 통해 해외 기업들이 미국에 공장을 짓도록 유도하겠다고 한다. 심플하다. 하지만 이것이 과연 미국에 이롭기만 할지는 의문이다. 자유무역은 미국 패권의 근간이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 질서가 재편되면서 미국 달러는 기축통화 자리를 차지했다. 미국은 다른 나라에서 만든 물건을 사주고 그 대가로 달러를 지급했다. 재화의 안전한 수송을 위해 미국은 막강한 군사력으로 전 세계 바다를 '지켰다'. 동시에 타국의 모든 상선을 무장해제 시켰다. 미국 달러가 많은 나라는 부유해졌고, 달러가 부족한 나라는 경제 위기를 겪었다. 한편, 이 헤게모니는 그 누구도 미국보다 부유해지거나 강력해질 수는 없도록 하였다. 그런 자유무역을 미국이 스스로 끝내버리려는 건 어떤 빅픽쳐를 그리고 있는 것인지 궁금하다. 

 

 

 

 

 

 

It feels as if I’ve been in a near-vacuum since December. Seven months have passed since my last upload in September. Now, I finally notice the flowers blooming outside the window. Spring has arrived.

 

1. The most recent book I read was a short story collection by 'Ryunosuke Akutagawa'. His writing vividly reflects the gradual decline of his mental and physical state. I plan to share my thoughts on this book later. After finishing the collection, I became curious about Atsushi Nakajima's works and intend to read them next. However, there are stacks of books waiting in line that I need to tackle first.

 

2. Trump's announcement of reciprocal tariffs keeps lingering in my mind. Many have called it a historic event, and I agree. If this trajectory persists, it could undoubtedly reshape not only the economic arena but also our everyday lives. Trump insists that the tariffs will prompt foreign companies to build factories in the US. It's simple. However, I question whether this will ultimately be beneficial for the USA. Free trade is the cornerstone of American hegemony. After World War II, the global order was restructured, and the U.S. dollar ascended to the status of reserve currency. The United States purchased goods produced in other countries and paid for them in dollars. To ensure the safe transport of these goods, the US's formidable military power “protected” the oceans, while concurrently disarming all foreign merchant ships. Nations flush with U.S. dollars became prosperous, whereas those lacking them fell into economic crises. Meanwhile, this hegemony ensured that no country could ever surpass America in wealth or power. It leaves me wondering: what grand design lies behind America’s apparent intention to dismantle free trade by its very own hand?

 

반응형

'eonlog > 일기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상탐구 24.07.16  (3) 2024.07.16
일상탐구 24.06.08 - ID4 초여름 전비  (0) 2024.06.08
더블트리바이힐튼 서울 판교 재방문 후기  (0) 2024.03.13
일상연구 23/11/13  (1) 2023.11.13
일상연구 23/09/11  (0) 2023.10.10

+ Recent posts